o Fourier Transform by Numerical Computation
우리가 지금까지 다룬 많은 신호들은 수학적으로 표현하기 적합했다. 하지만 직관적으로 생각했을 때 대부분의 실제 신호들은 그렇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신호들을 푸리에변환하기 위해 sampling을 한다. 신호를 sampling한다는 것은 delta함수들로 표현 한다는 것이고, 즉 discrete한 신호를 푸리에변환하겠다는 것이다.
x(t)를 N개의 신호로 sampling했을 때, X[k]는 아래와 같이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DFT는 N의 개수가 커질 수록 직접 계산하기가 어려워져 tool을 사용해야 한다. 어떻게 보면 tool을 이용해 계산하기 위해 sampling을 하는 것이다.

수업시간에 한 cos(2pi t)를 매틀랩을 이용하여 DFT한 것을 보자.


먼저 fftshift함수에 대해 알아보자면, 영주파수 성분을 배열의 가운데로 이동시켜 푸리에 변환 X를 재배열하는 것이다. 이 과정이 왜 필요한지 생각해보자. sampling을 하여 푸리에변환을 하면 spectrum은 periodic하다. sampling을 하면 discrete해지니 당연하다. 그리고 그 spectrum의 주기는 sampling을 한 interval인 Ts의 역수인 fs일 것이다.
매틀랩은 fftshift의 과정 없이 stem(X)를 하게되면 0Hz를 시작점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spectrum은 -1, 1Hz가 아닌 1Hz와 (1+fs)=3Hz에 나타난다. 이를 방지하고자 푸리에변환 후 재배열을 해주는 것이다.
교수님께서 수업 이후 매틀랩에서 위에 나온 정현파 신호(cos)를 DFT을 했을 때, peak가 2개가 아니라 이상한 spectrum들이 여러개가 나오게 되는 경우가 생기는데 왜 그런지 생각해 오라고 하셨다.
바로 생각난 것은 "sampling을 너무 적게하면 원래의 함수를 복원할 수 없지 않을까?"였다. 그래서 먼저 에일리어싱에 대해 조사를 해봤다. 빨리 달리는 자동차의 바퀴가 뒤로가는 것 처럼 보이는 것을 에일리어싱이라고 한다고 알고있었다. 에일리어싱의 대략적인 내용은 신호의 주파수보다 sampling frequency가 2배이상 크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를 cos함수에 적용해서 매틀랩에서 보았을 때, 여러 개의 스팩트럼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대신 원래 나타나야 할 주파수대신 다른 주파수에서 peak가 나타났다. 이를 유령 피크 라고 한다.
o Spectral Leakage(주파수 누설)
다음으로 periodic에 집중하였다. 우리는 특정 신호 x(t)를 sampling하고 sampling한 값들만 변환한다. 그리고 이 값들이 일정한 주기를 갖고 반복한다고 가정한다. 그렇다면 이상적인 sampling은 그 간격이 촘촘하고 x(t)의 한 주기여야 할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만약 sampling한 값들이 한 주기, 혹은 한 주기의 정수배가 아니라면 sampling한 부분의 시작과 끝이 이어지지 않는 상황이 생긴다.

위의 사진처럼 정현파의 시작과 끝점이 이어지지 않는다면 저 부분을 채울 주파수 성분들이 많이 생길 것이다. 따라서 이를 matlab을 통해 확인해 봤다.

위의 sampling은 1/4초 간격으로 64번 sampling을 한다. 따라서 총 16초동안 sampling을 하는데, x의 경우 주기가. 1.25초로 12.8주기를 sampling하므로 sampling의 처음과 끝이 다르다. 반면에 y의 경우 주기가 1.6초로 위와같이 샘플링을 하면 딱 맞아 떨어진다.

이러한 spectrul leakage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윈도잉 이라는 것이 있다. 샘플링 한 부분의 시작과 끝을 자연스럽게 0으로 수렴시켜 시작과 끝을 일치시켜 주는 것이다.
윈도우 함수를 이용하여 x(t)를 변형시킨 후 변환한 결과이다. 조금 더 정확한 모형으로 가까워 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ommunication Engine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LTI System (Linear Time Invariant System) (0) | 2025.03.26 |
---|---|
2. Fourier Transform of Periodic Signal (0) | 2025.03.17 |
1. Properties of Fourier Transform (0) | 2025.03.09 |